교재 : 비전공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입문 - 10. 인수가 있는 함수

 

인수(argument)

  • 인수는 실행될 때 값으로 대체된다.
  • 인수는 숫자나 문자열을 직접 지정할 뿐만 아니라 변수나 식으로 지정할 수 있다.

 

#인수가 있는 함수

function 함수명(인수, 인수, ...) { // 함수 정의
   처리할 내용
}

~ 어딘가의 다른 위치 ~
함수명(인수, 인수, ...); // 함수 호출

 

 

실인수(argument) : 실제 호출하는 인수 

가인수(parameter) :  어떤 값이 들어올지 모르는 인수 

 

 

 

#변수의 범위(variable scope)

로컬 변수 = 지역 변수
글로벌 변수 = 전역 변수

자바스크립트에서는 로컬변수가 더 중요시된다. 

 

 

 

인수가 있는 직접 만든 함수를 정의한 후 반복이나 배열과 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

const num = 8;
let cols = [];

function setup() {
  createCanvas(400, 100);
  for (let i = 0; i < num; i += 1) {
    cols.push(Math.random() * 255); //255 난수의 범위 지정
  }
}

function draw() {
  background(102, 103, 171);

  for (let i = 1; i < num; i += 1) { //i값이 1번부터 num 8보다 작은거라 범위는 1~7
    myfunc(i);
  }
}

function myfunc(idx) {
  fill(cols[idx]); //[idx]에는 배열의 번호가 들어감 0~7
  circle(idx * 50, height / 2, 50);
}

 

'Frontend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avaScript] 간단한 기본 개념  (0) 2024.06.05
[JavaScript] 11. 리턴 값이 있는 함수  (0) 2022.05.18
[JavaScript] 09. 함수  (0) 2022.05.18
[JavaScript] 07. 애니메이션  (0) 2022.05.18
[JavaScript] 06. 배열  (0) 2022.05.18
복사했습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