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[Spring] Vue + JPA + Spring 연동 시 Spring 구조 이해하기
2022. 9. 19. 22:17
Backend/Spring & JPA
오늘 Vue - Spring - jpa를 모두 연결해봤는데 앞으로 Spring에서 쓰일 구조들을 정리해보았다. 우선, Spring에서 크게 4가지 구조로 나눠서 개발을 할 수 있는데 controller & entity & repository & service 이렇게 4가지로 나눌 수 있다. DDD(Domain Driven Design) 도메인 주도 설계로 한다면 구조를 조금 바꾸긴 해야 하지만 우선은 이 정도 구조로 개발해도 된다고 한다. controller URL 맵핑 기능 Vue에서 요청 온 것들을 컨트롤러에서 관리할 수도 있고, URL을 맵핑시켜 아래와 같이 요청 들어온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. ⭐entity 핵심 업무 규칙 사실 이 구조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게 엔티티라고 보면 됨..

[JAVA] JAVA 설계시 패키지 구분 (entity/utillity/controller)
2022. 8. 3. 22:09
Backend/JAVA
코드를 구현할 때 가장 먼저 하는 것은 패키지 생성! 패키지는 디렉토리로 컴퓨터에서 폴더와 같은 개념으로 보면 되는데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들을 묶어 놓은 것이다. 현재 웬만한 코드들은 아래와 같은 패키지들 안에 넣어서 구현을 하고 있는데 과연 저 controller와 entity와 utillity는 어떤 기준으로 분류가 되어 있는가!?에 대한 정리! ⚙️controller 컨트롤러는 말 그대로 컨트롤이 필요한 코드들을 작성한다. Spring에서 예를 들면, 진입할 URL 경로를 설정하고 프로그램을 동작 시킬 때 어느 메서드를 동작을 시킬 것인지 순서도 컨트롤할 수 있으며, 컨트롤러 안에서 가변적으로 작동하는 변수들을 관리 할 수도 있다. 작성해 놓은 다른 클래스/객체들을 여기서 가져와서 관리할 수 있다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