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chapter6.은 막힐땐 쉬어가며 공부하라는 강의 내용이라 pass : https://youtu.be/7D-h_PbJ3I8)

Chapter 7. 변수 :  변수의 정의

#VARIABLE(변수) : 값이 변할 수 있는 수

자바에서 변수의 타입을 지정해주는 이유 : 어떤 데이터가 들어가 있는지 명시적으로 알 수 있어서 구별이 쉽고, 변수에 해당되는 데이터의 타입이 다를 경우 컴파일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오류를 줄일 수 있다.

 

·Variable.java



public class Variable {
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// Variable 베리어블 : 값이 변할 수 있는 문자
		
		int a = 1; //Number -> integer (정수)  ... -2, -1, 0, 1, 2 ...
		System.out.println(a);
		
		double b = 1.1; // real number -> douvle (실수)  ... -2.0, -1.0, 0, 1.0, 2.0 ...  
		System.out.println(b);
		
		String c = "Hello World";
		System.out.println(c);

	}

}


 

https://youtu.be/FtWGiWBNJ-I

 

 

 


 

 

Chapter 7. 변수 :  변수의 효용

#변수의 효용 : 어떤 값을 넣어야 하는 부분에 '변수'를 사용함으로써, 특정 값의 수정이 필요할 때 변수 하나만 수정하면 해당 변수 전체 일괄 수정이 가능해진다. 또한 코드를 작성할 시에 미래의 내가 혹은 타인이 보기에 알기 쉽도록 변수의 이름은 알기 쉽도록 정확하게 명시해 주는 것이 좋다.

(예 : 고객의 나이,직업,신분 등 정보가 변동 될 수 있는 부분을 변수로 사용하면 유용함)

 

·Letter.java



public class Letter {
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String name = "leezcha";
		System.out.println("Hello, "+name+" ... "+name+" ... egoing ... bye");
		
		double VAT = 10.0;
		System.out.println(VAT); //VAT : 부가가치세
		// 코드의 의미를 빨리 파악 할 수 있도록 코드를 작성하는것이 중요! ->변수 사용
		// 변수 : 값에 이름을 부여 
		

	}

}


 

https://youtu.be/GUpmH11BF2Y

 

 


 

 

Chapter 7. 변수 :  데이터 타입의 변환(Casting)

#CASTING(형변환) : 한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의도적으로 변환 시키는 것

 

·Casting.java



public class Casting {
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
	double a = 1.1;
	double b = 1; // 정수를 실수로 변환했을때 실손이 없어서 자동 변환됨
	double b2 = (double) 1;
	
	System.out.println(b);
	
//	int c = 1.1; 
	double d = 1.1; 
	int e = (int) 1.1; 
	System.out.println(e); 
	//실수를 정수로 변환했기때문에 실손이 일어남
		
	// 1 to Sting
	String f = Integer.toString(1);
	System.out.println(f);
	System.out.println(f.getClass());
	
	}

}


 

https://youtu.be/LeTbH63CpRo

 

복사했습니다!